안녕하세요. 머하빗입니다. 최근 불경기로 인해 가계부담을 줄이고 싶으신 마음이 크실 것입니다. 저 역시도 마찬가지인데요. 매 월 나가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 내가 직접 쓰지도 않는 돈들이 통장을 통해 나가는 부분은 줄이고 싶은 마음이 커지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국민연금 보험료 부담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노후 준비를 더 탄탄히 할 수 있도록 도움되는 정보를 확인하세요.

1. 임의계속가입 제도 활용
퇴직 후 국민연금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면 소득 수준에 따라 보험료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때 임의계속가입 제도를 활용하면 퇴직 전 직장 가입자 수준의 보험료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제도 개요: 퇴직 후에도 직장 가입자 평균 기준으로 국민연금을 납부할 수 있는 제도
- 신청 조건: 퇴직 후 만 60세 이전에 신청 가능 (최대 3년간 유지)
- 장점: 지역가입자로 전환되었을 때 소득 신고에 따라 보험료가 급격히 오르는 것을 방지
2. 두루누리 사회보험 지원제도
소규모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와 사업주는 정부의 두루누리 사회보험 지원제도를 통해 국민연금과 건강보험료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사업장 규모 10인 미만, 근로자 월 평균 보수 260만 원 미만
- 지원 내용: 국민연금과 건강보험료의 최대 80%까지 지원
- 신청 방법: 근로자가 속한 사업주가 고용노동부나 국민연금공단에 신청
3. 추가납입 및 크레딧 제도 활용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부족하거나 중단된 경우, 추가납입 또는 크레딧 제도를 활용하면 미래 연금액을 늘릴 수 있습니다.
추가납입 제도
- 대상: 과거 납부 예외 신청자, 소득이 없어 납부하지 못한 기간이 있는 사람
- 혜택: 가입 기간이 늘어나면 연금액이 증가
크레딧 제도
- 군복무 크레딧: 군복무(병역 의무)를 이행한 경우 최대 6개월 추가 인정
- 출산 크레딧: 둘째 자녀부터 출산 시 최대 12개월 추가 인정
- 실업 크레딧: 실업급여를 받는 동안 국가가 일부 보험료를 지원하며 가입 기간 인정
4. 소득 신고 정확히 하기
국민연금 보험료는 소득(총보수)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따라서 실제보다 과다하게 소득 신고가 이루어지는 경우 불필요하게 높은 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습니다.
- 확인 방법: 월 소득 신고 내역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나 앱에서 확인 가능
- 조정 방법: 과다 신고된 소득은 회사나 공단에 문의하여 수정 요청
5. 연기연금제도로 혜택 극대화
국민연금은 연금을 늦게 받을수록 연금액이 증가합니다. 연기연금을 활용하면 당장의 생계비 부담은 줄이고, 장기적으로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수령액 증가율: 연기 시 매년 7.2%씩 연금액 증가 (최대 5년 연기 가능)
- 활용 대상: 현재 소득 활동 중인 사람이나 당장 연금을 받을 필요가 없는 사람
[예시]: 월 100만 원의 연금을 받을 예정인 사람이 5년간 연기하면 약 136만 원으로 연금액이 증가합니다.